CNET Korea뉴스비즈니스

네이버 ‘플레이스 AI 브리핑’, 체류시간·클릭률↑…예약·주문도 늘었다

리뷰 핵심정보 요약해 제공…사용자 탐색 효율·사업주 영업 효과 동반 상승

플레이스 AI 브리핑(사진=네이버)

(씨넷코리아=김태훈 기자) 네이버가 지난 6월 선보인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식당·카페 등 장소 탐색 경험을 크게 개선하며 사업주의 영업에도 실질적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들의 사용자 체류 시간, 클릭률 등 주요 지표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 도입 전보다 모두 뚜렷한 상승세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플레이스 AI 브리핑은 네이버 플레이스에 등록된 업체의 방대한 리뷰를 AI가 요약해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용자는 앱이나 지도 검색을 통해 특정 업체를 찾을 때, 대표 메뉴 특장점, 공간 분위기, 예약 가능 여부 등 핵심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사용자 평균 체류 시간은 10.4% 증가했으며, 관심도를 보여주는 클릭률은 27.4% 늘어났다. 특히 업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더보기’ 탭 클릭률은 137% 급증했고, 메뉴 더보기 클릭률도 30% 상승했다. 이는 요약 정보를 확인한 뒤 이용자가 추가 탐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졌음을 보여준다.

탐색 증가 효과는 실제 예약·주문으로도 연결됐다. 네이버에 따르면, AI 브리핑 노출 이후 예약·주문 건수는 약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즈니스 미팅에 적합”, “루프탑은 반려견 동반 가능” 등 세부적이고 실제적인 공간 정보가 이용자들의 방문 결정을 빠르게 돕고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AI 브리핑의 범위를 점차 넓힐 계획이다. 현재는 상호명 검색 시에만 적용되지만, 앞으로는 ▲주차 편의성 ▲아기 의자 제공 여부 등 장소 관련 조건 검색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더 나아가 숙박, 미용, 명소 등 다양한 업종으로 확대해 연내 두 자릿수 업종에 적용할 방침이다.

최지훈 네이버 플레이스 검색&콘텐츠 총괄 리더는 “네이버에 쌓인 풍부한 리뷰 데이터가 AI 브리핑의 품질을 높이고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탐색 효율성과 만족도를, 사업주에게는 영업 성과를 동시에 가져다주고 있다”며 “앞으로도 서비스를 고도화해 더욱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 플레이스는 AI 브리핑 외에도 ▲AI 대본 기반 홍보영상 제작 도구 ‘플레이스클립’ ▲리뷰 답글 초안 생성 ‘AI 리뷰 관리 솔루션’ 등을 도입하며 사업주 편의를 높이고 있다.

김태훈 기자ifreeth@cnet.co.kr

IT를 좋아하는, 넓은 마음을 가진 행복한 낙천주의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