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ET Korea뉴스비즈니스

AWS, 응답 기업 96% 25년 생성형 AI 기술 직무 채용 예상 

생성형 AI 분야에 더 많은 투자 계획

AWS가 생성형 AI 도입 현황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AWS)

(씨넷코리아=신동민 기자)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는 오늘 2024년 한 해 동안 국내 기업의 생성형 AI 도입이 급증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기업 중 거의 절반에 이르는 45%가 AI 도입안을 실제 운영 단계로 확장 중이며, 89%가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96%의 기업은 2025년 생성형 AI 관련 직무 채용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기업 응답자의 54%는 2025년 IT 예산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생성형 AI에 둘 계획이다. 이는 보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기업(20%)이나 컴퓨팅을 우선시하는 기업(17%)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이번 조사는 AWS가 액세스 파트너십(Access Partnership)과 공동으로 수행한 ‘생성형 AI 도입 지수(Generative AI Adoption Index)’ 연구의 일환으로, 생성형 AI 실험 단계에서 전면 도입 단계로 전환한 국내 기업들의 패턴과 인사이트를 분석하고, 비즈니스 가치를 가속화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전략을 제시한다. 해당 조사는 금융 서비스, 정보통신기술, 제조, 유통 등의산업에 종사하는 국내 고위 IT 의사결정권자 42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AWS 샤운 난디(Shaown Nandi) AGS 테크놀로지 디렉터는 “AI 시대에 있어 최고 AI 책임자(CAIO)의 역할은 필수불가결할 것”이라며, “조직이 생성형 AI 투자를 본격적으로 확대함에 따라, AI 리더들은 혁신과 실험 문화를 이끄는 조직 내 혁신의 설계자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이 새로운 유형의 AI 리더십은 기업의 AI 역량을 끌어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규모 비즈니스 성과 창출을 위한 창의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직 내 리더십 구조는 새로운 요구에 맞춰 진화하고 있으며, AI 전문 인재에게 최고 수준의 경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CTO(최고기술책임자)와 CIO(최고혁신책임자)가 대부분의 IT 전환을 주도해왔으나, 국내 기업의 63%는 생성형 AI 도입을 가속화하고 구현 복잡성을 관리하기 위해 CAIO와 같은 전담 AI 임원을 새롭게 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최우선 과제는 조직 전체를 아우르는 생성형 AI 전략 수립과 실행, 그리고 효과적인 변화 관리를 통해 AI 혁신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현재 AI변화 관리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조직은 10%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78%의 기업이 2025년 말까지 AI 변화 관리 이니셔티브를 도입할 계획을 갖고 있으며, 이는 CAIO가 AI 전략을 조직 전반에 걸쳐 실질적으로 구현해 나가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기업들은 증가하는 AI 인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내부 인력 역량 강화와 외부 전문 인력 확보를 병행하는 이중 전략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사적인 생성형 AI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인재 시장에서는 기술 리더들이 부서 내 생성형 AI 역량을 구축함과 동시에 이를 조직 전체에 적용해야 하는 과제를 마주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국내 조직은 상당한 규모의 채용 이니셔티브를 계획하고 있으며, 96%가 2025년에 생성형 AI 역량을 요구하는 직무에 대한 채용을 준비 중이다. 

신동민 기자shine@cnet.co.kr

다양하고 흥미로운 기사를 찾아 재미있게 전달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