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ET Korea뉴스신제품

한국엡손, 강용제 대응 잉크젯 프린트헤드 ‘S3200-S1’ 선보여

강용제 대응·광폭 인쇄·고해상도 출력 등을 주요 기능으로 산업용 양산 공정 시장 본격 공략

한국엡손이 강용제 대응이 가능한 광폭·고해상도 프린트헤드 ‘S3200-S1’를 출시했다. (사진=한국엡손)

(씨넷코리아=신동민 기자) 한국엡손(이하 엡손)은 독자적인 ‘프리시전코어(PrecisionCore)’ 기술을 적용하고 강한 용해력을 가진 고극성 용제(이하, 강용제 )에도 안정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헤드 ‘S3200-S1’을 새롭게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강용제 대응 성능과 함께 광폭 인쇄, 고해상도 출력을 모두 갖춘 산업용 양산 공정용 솔루션으로, 엡손의 핵심 기술인 마이크로 피에조(Micro Piezo) 기반 ‘프리시전코어’ 프린트헤드를 적용했다. 엡손은 자사의 독보적인 잉크젯 기술 활용 범위를 첨단 제조 분야로 한층 확대하고, 정밀 공정 혁신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S3200-S1은 NMP, DMSO, DMF, DMI 등 다양한 강용제에 안정적으로 대응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의 박막 형성과 같은 고난도 공정에 적합하다. 또한, 기존 모델인 S800-S1(1.33인치) 대비 약 3.5배 넓은 4.73인치로 인쇄 폭을 확장해 필요한 헤드 수를 줄이고 장비 구성을 단순화했다. 600dpi의 고해상도 인쇄를 지원하면서 균일하고 정밀한 박막 두께를 구현함으로써 대량생산 공정에서도 안정적인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엡손은 이미 S800-S1, I3200-S1HD 등 강용제 대응 프린트헤드 라인업을 갖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광폭형 모델 S3200-S1은 소재 연구개발부터 양산 장비 설계까지 폭 넓은 지원이 가능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를 비롯한 새로운 산업 응용 분야 개척에 기여할 전망이다.     

엡손이 독자 개발한 마이크로 피에조 프린터헤드 기술은 잉크를 정밀하게 뿌릴 수 있는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자사 제품뿐 아니라 최근 산업용 부품 비즈니스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 기술은 섬유 전용 프린터에 적용하면 원단 위에 직접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고, 전자 부품 장비에 활용하면 정교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어 고정밀 인쇄 설비를 중심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편, 엡손은 ㈜고산테크와 파트너십을 맺고 강용제 대응 프린트헤드 S800-S1과 S3200-S1 모델을 공급해 잉크젯 방식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양산화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모로후시 준 한국엡손 대표는 “엡손의 잉크젯 프린트헤드 기술은 속도, 정밀함, 품질 모든 측면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하며 “이번 신제품 출시를 계기로 보다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생산성 혁신에 기여하고, 엡손만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신동민 기자shine@cnet.co.kr

다양하고 흥미로운 기사를 찾아 재미있게 전달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