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넷코리아=김진아 기자) 노드VPN은 최근 발표한 국가별 개인정보보호 인식 테스트(National Privacy Test, NPT) 조사 결과에서 한국인의 사이버보안 지식 수준이 100점 만점에 50점으로, 지난해와 동일하게 세계 11위를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국가별 개인정보보호 인식 테스트(National Privacy Test, NPT)는 전 세계 186개국 30,792명이 참여해 22개 문항에 답변한 공개 설문조사로, 개인의 사이버보안 및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 인식을 평가하고 보안 위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한국은 비밀번호 관리와 소셜미디어 개인정보 보호 분야에서 비교적 강점을 보였다.
응답자의 94%는 강력한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었고, 87%는 소셜미디어에서 공유해서는 안 되는 민감한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업무용 AI 활용(8%) ▲메타데이터 이해(6%) ▲가정용 와이파이 보안(9%) ▲피싱 사이트 식별 능력(19%) 등에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기본적인 보안 수칙에는 익숙하지만, AI 확산과 같은 새로운 기술 환경에는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이버보안 지식 수준을 세 단계로 분류했을 때, 한국인의 절반 이상(52%)은 기본 수준에 머물렀으며, 최고 수준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6%에 불과해 글로벌 평균인 10%보다 낮았다. 이는 한국인의 상당수가 기본 보안 수칙은 숙지하고 있지만, 정교한 위협을 완전히 차단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과 비교하면 일부 지표는 개선됐지만 여전히 취약한 영역이 존재한다. AI 기반 사기 인식은 49%에서 55%로 상승했고,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 도구에 대한 인식도 12%에서 13%로 향상됐다. 반면 집 와이파이 보안 이해도는 12%에서 9%로 떨어졌으며 신용카드 정보 저장 위험 인식도 82%에서 78%로 감소했다. 가짜 URL과 피싱 사이트 식별 능력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각각 36%, 19%에 머물렀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보안 의식은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지만, AI 활용과 관련된 보안 인식이 여전히 낮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업과 개인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를 빠르게 도입하고 있지만, 해커에게 새로운 공격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이는 개인정보 유출, 업무 기밀 노출, 금융 피해 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노드 VPN은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사이버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각 계정의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의심스러운 링크나 알 수 없는 연결 요청을 주의하는 등 기본 보안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리유스 브리에디스(Marijus Briedis) 노드VPN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온라인 환경에서 AI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위험이 증가했지만,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위해 기본적인 보안 원칙을 지키는 것이 여전히 핵심이다.”며, “작은 실수를 이용해 해커들이 침투할 수 있어, 기본 보안 수칙을 지키는 것이 개인정보와 계정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