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ET Korea뉴스인터넷

한국 직장인, AI 활용·학습 의지 모두 일본 압도

챗지피티·제미나이 등 주요 AI 사용률에서도 한국이 일본보다 10~15%p 높아

한국과 일본의 AI 도입 현황 비교(사진=PDF Guru)

(씨넷코리아=김태훈 기자) 글로벌 문서 플랫폼 PDF Guru가 한국의 틸리온 프로, 일본의 Freeasy24와 함께 한국과 일본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AI 활용 비교 조사 결과, 한국이 인지도와 사용 경험, 학습 의지 등 전반에서 일본을 크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hatGPT(챗지피티), Gemini(제미나이) 등 주요 AI 도구 활용률 격차가 두드러졌다.

조사에 따르면 AI 도구를 한 번도 사용해본 적 없는 비율은 한국 34.8%, 일본 48.6%로 일본이 14%p 이상 높았다. 반면 ‘몇 번 사용해 봤다’는 응답은 한국이 24.2%로, 일본(18%)보다 높았다. 이는 한국이 단순 체험 단계를 넘어 AI를 실질적인 업무 및 일상 도구로 받아들이는 추세임을 보여준다.

개별 도구별로는 챗지피티 사용률이 한국 36.9%, 일본 30.1%, 제미나이의 경우 한국 20.2%, 일본 14.7%로, 모든 항목에서 한국이 앞섰다. 기타 AI 툴 활용률도 한국이 7.9%, 일본은 2.4%에 그쳤다. 반면 “AI에 대해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일본이 46.1%로, 한국(30.8%)보다 15%p 이상 높아 양국 간 인지도 격차도 확인됐다.

AI 활용 목적에서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업무 중심의 활용은 비슷했지만, 한국은 개인적 활용(27.9% vs 17.3%), 단순 체험(24.5% vs 9.2%), 학습 목적(11.8% vs 7.7%) 등 업무 외 영역에서 훨씬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PDF Guru는 “한국은 AI를 ‘생산성 향상 도구’로만 보는 단계를 넘어, 자기계발과 일상 속 실험의 도구로 발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AI가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도 한국은 낙관적이었다. “AI가 새로운 기회를 가져올 것”이라는 응답은 한국 35.4%, 일본 27.5%로 나타났고, 향후 5년 내 변화를 ‘중간 이상’으로 본 비율도 한국 38.5%, 일본 22.4%로 격차가 컸다.

또한 ‘꼭 배우고 싶다’(한국 17.3% vs 일본 12.5%), ‘이미 알고 있다’(10% vs 5.1%) 응답에서도 한국이 앞서, AI 학습 의지와 친숙도 모두에서 우위를 보였다.

PDF Guru 관계자는 “한국은 이미 AI 활용이 체험 단계를 넘어 습관화 단계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며, “기업과 기관은 단순한 인식 제고를 넘어 PDF 요약 AI 등 실무형·학습형 솔루션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훈 기자ifreeth@cnet.co.kr

IT를 좋아하는, 넓은 마음을 가진 행복한 낙천주의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