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5kW, 6kW, 10kW 모델 모두 품질인증 획득, 기술력 인증 및 사업화 박차
(씨넷코리아=신동민 기자) 수소에너지 전문기업인 케이퓨얼셀은 자사의 건물용 연료전지 전 제품 라인업(5kW, 6kW, 10kW)이 한국에너지공단(KS) 및 한국가스안전공사(KGS)의 인증 절차를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특히, 지난 11월 3일에 10kW 제품이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최종 시험을 통과하면서 모든 제품군의 인증 절차를 완료했다.
이번 인증은 지난 9월 획득한 한국에너지공단의 KS 인증에 이어 이루어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한 사양의 최초 인증에는 2년 이상이 소요되지만, 케이퓨얼셀은 불과 1년 여 만에 세 가지 사양의 제품 인증을 모두 완료하며 기술력을 입증하고 사업화 기반을 단단히 다졌다. 특히 케이퓨얼셀의 6kW와 10kW 제품은 업계 최고의 종합 효율을 기록하며 성능 경쟁력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서 향후 스택 신기술을 적용해 전 모델에서 최고 효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로써 케이퓨얼셀은 다양한 용량의 건물용 연료전지를 상용화할 준비를 마쳤으며, 2026년 상반기까지 도시가스 개질 타입(도시가스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으로는 세계 최대 수준인 50kW급 건물용 연료전지를 개발하고 인증을 완료할 계획이다. 케이퓨얼셀은 이를 바탕으로 대형 건물, 대규모 서버 운영 시설(데이터 센터), 산업단지 등 고전력이 필요한 시설까지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간 케이퓨얼셀은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넥쏘' 2세대 모델에 수소연료전지 부품을 공급하며 차량용 연료전지에 대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노하우를 축적해 왔으며, 300kW급 선박용 연료전지 시스템도 개발 및 공급한 바 있다. 이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케이퓨얼셀은 차량용과 건물용 시장을 넘어 군사용 연료전지 시장으로의 진출도 추진 중이다.
케이퓨얼셀은 또한 차별화된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택 내부 생성수 제어를 통해 안정적∙균일한 전력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기 전도성이 높고 부식에 강하며 경량화가 가능한 탄소복합소재 스택 분리판 제조 기술도 갖추고 있다.
케이퓨얼셀 관계자는 “이번 인증 완료는 단순한 제품 승인 차원을 넘어, 국내 수소연료전지 산업의 경쟁력 회복과 도약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향후 제품 효율 향상과 함께 50kW급 차세대 대용량 제품 개발을 통해 글로벌 수소에너지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케이퓨얼셀은 자동차 부품기업 코렌스(KORENS)의 계열사로서 ㈜코렌스(자동차 및 방산부문 열관리 시스템), ㈜코렌스이엠(전동화 부품), ㈜코렌스알티엑스(수소연료전지 촉매·나노소재, 컨테이너 검색기) 등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및 에너지 전환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