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ET Korea뉴스비즈니스

소비쿠폰, 당근서 현금 거래 '빨간불'···정부 단속 강화 나서

'시민 의식 중요'···정책 효과 극대화 위한 노력 필요

실제 당근 플랫폼에 올라온 소비쿠폰 거래 시도 관련 이미지 (사진=온라인 커뮤니티/씨넷코리아)

(씨넷코리아=김진아 기자)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야심차게 도입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시행 초기부터 암표 거래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을 중심으로 소비쿠폰을 현금화하려는 시도가 잇따라 정부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21일부터 지급이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에서 버젓이 거래되고 있다. '당근마켓'을 비롯해 중고나라 등에서는 "소비쿠폰 팝니다"라는 제목의 게시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일부 판매자들은 "급하게 돈이 필요하다"거나 "사용할 시간이 없다"며 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를 제안하는 등 '꼼수'를 부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비쿠폰은 신청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범위 내 연 매출 30억 원 이하 매장이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온라인을 통해 현금화될 경우, 이러한 제한을 피해 대형마트나 대기업 직영 매장에서 소비될 가능성이 높아 소상공인 지원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소비쿠폰 암표 거래가 확산되자 정부는 부정 유통 행위에 대한 단속 강화에 나섰다. 정부의 단속 강화 방침에 따라 주요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들도 자체적인 필터 작업을 거치고 있다. '당근마켓'을 비롯해 중고나라, 번개장터 등은 '소비쿠폰', '민생지원금' 등 특정 검색어 제한 설정이나 게시글 삭제 조치를 진행 중이다.

정부는 온라인 감시도 강화한다. 행정안전부는 각 지자체에 지역별 '부정유통 신고센터'를 운영해 가맹점 단속을 수시로 진행하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 간 거래가 이뤄지지 않도록 감시를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소비쿠폰이 본래 취지대로 사용되려면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은 물론,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신고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