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툴 및 서비스로 간단한 연동, 완벽한 이미지 품질, 지속가능한 접근 방식 소개
(씨넷코리아=신동민 기자) 소니 프로페셔널 솔루션 사업부는 9월 12일부터 15일까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되는 전시회 IBC 2025에서 최신 클라우드, 인공지능(AI), IP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강력한 통합 생태계를 공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소니는 단순히 개별 제품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캠코더, 카메라, 스위처,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 성능을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기술로 극대화하고 뉴스, 라이브 프로덕션, 영화 제작 등 모든 미디어 분야의 워크플로우를 혁신하는 청사진을 제시한다.
이번 IBC 2025에서는 콘텐츠 진위성 기술부터 소프트웨어 정의 방송(Software Defined Broadcast)의 미래 비전, 그리고 지속 가능성에 대한 책임감까지, 급변하는 미디어 산업의 요구에 대응해 가장 진보적이고 실용적인 솔루션으로 구축한 미래 제작 환경의 새로운 표준을 선보인다. 개방형 표준과 파트너사와의 협력으로 더욱 유연하고 효율적이며 지속 가능한 미디어 제작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는 소니의 비전을 확인할 수 있다.
AI가 생성하고 조작하는 콘텐츠가 정교해짐에 따라, 미디어 출처 및 신뢰성 확보는 업계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미디어 전문가들에게 검증 가능한 이미지는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을 지키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소니는 C2PA(Coalition for Content Provenance and Authenticity) 운영 위원회 일원으로서 콘텐츠의 출처와 진위를 증명하는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의 결실로 선보인 ‘PXW-Z300’은 촬영 단계에서부터 영상 파일에 직접 디지털 서명을 내장하는 세계 최초 캠코더이다. 이는 후반 작업이 아닌, 콘텐츠 생성의 가장 첫 단계에서부터 진위 여부를 증명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을 제공한다. PXW-Z300은 소니의 최신 기술이 집약된 제품으로, 1/2인치 4K 3-CMOS Exmor R 센서, 최신 BIONZ XR 이미지 프로세싱 엔진, 그리고 전용 AI 프로세싱 유닛을 탑재하여 압도적인 화질과 처리 속도를 자랑한다.
PXW-Z300에 탑재된 전용 AI 프로세싱 유닛은 얼굴, 눈, 골격 및 자세 정보를 기반으로 한 고정밀 피사체 인식을 실현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현된 자동 프레이밍(auto-framing) 기능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AI가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프레임 중앙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구도를 자동으로 조정한다. 이 기능으로 1인 미디어나 소규모 제작 환경에서 별도의 카메라 오퍼레이터 없이도 전문가 수준의 구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소니는 촬영 현장에서부터 최종 배포까지, 제작 과정 전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신속한 파일 전송, 원활한 원격 협업, 그리고 직관적인 자산 관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PXW-Z300은 LiveU와 파트너십 하에 공동 개발한 소형 데이터 송신기 ‘LiveU TX1’을 활용하여, USB로 파일을 자동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여러 네트워크 회선(유선, 무선, 셀룰러 등)을 결합해 안정성과 속도를 극대화하는 '본딩 전송' 기술은 통신 환경이 불안정한 현장에서도 대용량 파일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LiveU TX1은 USB 연결뿐 아니라 향후 SDI 지원도 계획 중이며 폭넓은 소니 캠코더 라인업과 호환 예정이다.
소니는 5G 기술의 잠재력을 입증하기 위해 BT, SailGP와 협력해 고용량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한 Full HD 카메라 로밍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나아가 5G 호환 무선 통신 장치 ‘PDT-FP1’과 같은 제품을 통해 다채로운 영상 전송 워크플로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