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넷코리아=윤현종 기자) 상업용 부동산 종합 서비스 기업 알스퀘어가 5일 ‘2025 데이터센터 리포트: 엣지는 가깝게, AIDC는 강하게.. AI 시대의 두 얼굴'을 발표, 국내 데이터센터 공급이 연평균 20.3%로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는 2023년 3천728억 달러(약 518조 원)에서 2029년 6천241억 달러(약 867조 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6년 동안 약 350조 원 증가로, 연평균성장률(CAGR) 약 9.0%에 해당한다. 이러한 성장세는 국내 시장에서도 데이터센터가 ‘뉴 이코노미(New Economy)’ 핵심 인프라 자산군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자본 유입을 가속화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실제로 국내 시장도 공급과 거래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10년 이후 민간 데이터센터 공급은 연평균 20.3% 증가했으며, 팬데믹 이후 5G·AI 확산과 함께 자산운용사, 오퍼레이터 등 신규 주체의 시장 진입으로 최근 5년간 증가 폭이 더욱 확대됐다.
거래 규모 역시 2023년까지는 연간 1천억 원에 못 미쳤으나, 2024년 맥쿼리의 하남 데이터센터 매입(7천340억 원), 2025년 SK AX 판교 데이터센터 매각(5천68억 원) 같은 대형 딜이 이어지며 거래 규모가 본격적으로 커지고 있다. 보고서는 향후 자산운용사 보유 매물이 시장에 출회되면 거래 건수와 금액이 동시에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AI시대의 트렌드로, 지자체 주도의 하이퍼스케일 센터 공급 확대와 전력 확보가 어려운 서울 도심의 중소형 데이터센터 공급을 꼽았다. 특히 10MW 미만 전력으로 도심·업무지구에 구축 가능한 ‘엣지 데이터센터’는 데이터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고, 중앙에 집중되던 데이터를 분산시켜 응답 속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 근처에 전략적으로 배치하는데, 최근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의 가파른 성장세로 인해 점차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또 생성형AI의 급성장으로 머신러닝·추론 등이 가능한 고성능 GPU·고대역폭 네트워크·고효율 냉각 시스템을 갖춘 ‘AI 데이터센터(AIDC)’ 역시 신흥 트렌드로 주목 받고 있다.
최규정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AI가 촉발한 데이터 중력(Data Gravity) 현상 심화로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와 투자 활황이 이어지겠지만,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 증가, 냉각수 사용 확대 등 환경 부담과 허수 수요로 인한 전력설비 과잉투자 문제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